변수 (Variable)
▶▶ 변수(variable)
– 변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메모리)
– 한번에 한개의 데이터만 저장 가능함.
1 ) 변수 선언
2 ) 변수 초기화
▸ 변수 '초기화' 이유?
– 변수 선언을 하면 메모리에 공간이 생김.
근데 초기화를 안하면 그 공간에 뭐가 들어 있긴 있는지, 도대체 뭐가 들어 있는지 모르기에 초기화를 진행함.
– 학원 사물함을 쓰려면 앞에 썼던 사람의 물건을 '정리'해야 내가 쓸 수 있는것과 같음.
3 ) 변수 사용
EX1 ) 숫자형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 후 출력
var num = 100; // 변수 선언 & 초기화
document.write(num); // 변수 사용
document.write("num : " + num);
✓ 실행결과
100num : 100
EX2 ) 숫자형 데이터 변수 2개 생성, 각각 출력 후 두개의 합을 출력
var num1 = 100;
var num2 = 200;
document.write("num1 = " + num1 + "<br>");
document.write("num2 = " + num2 + "<br>");
document.write("sum = " + (num1+num2));
✓ 실행결과
num1 = 100
num2 = 200
sum = 300
▶ 변수명 짓기
– 영문과 숫자 구성 → 특수문자 _ & 2가지 가능
– 제 3자가 봤을 때도 알아보기 좋은 의미 있는 이름으로 작성해야 함.
– 공백 사용 안됨, 길이 제한 없음.
– 2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고 두번째 단어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작성 하는 카멜(낙타) 표기법 주로 사용함.
ex ) myName 2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 두번째 단어의 첫글자 대문자 작성
– 스네이크 표기법은 잘 안씀, python에서 사용함
ex ) my_name
– 변수명짓기 사이트도 있음. (https://curioustore.com/#!/)
▶ 변수의 재사용
– var키워드 생략
EX )
var num = 100;
num = 200;
num = "3000";
document.write(num+1);
→ 변수 num이 숫자인지 문자인지 판별하려면 문자라면 연결, 숫자라면 연산됨.
ex ) 사물함을 쓰려면 기존의 사물함을 비워야하는것처럼 최근의 변수값만 인지함.
→ 처음의 num값은 100이였지만 다음으로 정수 200의 값이 저장되고, 그 다음으로 문자열 "3000"의 값이 저장됨.
✓ 문자열 + 숫자 = "3000" + 1 = 3001, 3001의 값이 출력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