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 O P I C Local에 프로젝트를 먼저 생성한 뒤에 GitHub와 연동할 수 있는 방법은 🤔❓ – 보통 계획적으로 GitHub에 레포지토리를 먼저 생성하고 로컬에 프로젝트를 만들기 보다는 Local에 프로젝트를 먼저 만들어서 코드 짜다가 뒤늦게 GitHub에 연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연동하는 방법 정리 ! 0. 프로젝트 생성 – 레포지토리를 먼저 생성하면 해당 코드를 복사해서 import로 땡겨와 매우 편하지만 어찌 매번 계획적이겠는가 ㅋ_ㅋ – 작업하다보니 프로젝트를 먼저 생성하게 되었고, 이제 SpringTestProject를 GitHub에 연동해보겠다 ! 1. 해당 프로젝트 파일이 있는 폴더 찾아가기 – 내 컴퓨터(Local)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했으므로 workspace에 해당 프..

🌱 T O P I C 공동으로 작업한 프로젝트를 나의 깃허브 레포지토리로 Clone하여 개인 Develop 하고 싶다면🤔❓ 1. 해당 프로젝트를 저장할 위치를 열어 'Git Bash Here' 클릭 – 해당 폴더 위치에서 Git Bash를 열겠다는 의미. – cd 명령어로 위치를 찾을 필요 없이 해당 위치에 복사한 프로젝트 파일을 바로 저장할 수 있음. – 나같은 경우, 'SPRING' 폴더에 'BURADER' 프로젝트 파일들이 폴더로 저장됨. 2. 프로젝트 복사 git clone [복사할_프로젝트_레포지토리_주소] – 해당 위치에 프로젝트 파일이 복사됨. 3. .git 생성 git init – git을 통해 버전관리를 하겠다고 선언. – root 폴더(BURADER)에 .git 폴더가 생성되고 Git ..
- Total
- Today
- Yesterday
- Dao
- mysql
- 출력문
- gitbash
- javascript
- 단일행함수
- 오버라이딩
- 인자
- JSTL
- Java
- 매개변수
- github
- model2
- Git
- 내장객체
- 논리형
- Object
- 숫자형
- 원격저장소
- 다형성
- null
- 문자형
- DB
- jsp
- 제어문
- 데이터타입
- 로컬저장소
- Method
- 주석문
- 업캐스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