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연습문제 1 – 테이블 생성& 데이터 입력 – Update 구문 – Delete 구문 – Alter Table 구문 – View 생성 📍 연습문제 2 – 테이블 생성 – 데이터 입력 – View 생성 – 백업 스크립트 📍 연습 문제 1 ▸ 테이블 생성 1. major table •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major (major_id int PRIMARY KEY AUTO_INCREMENT, major_name varchar(50) NOT NULL); • 데이터 입력 INSERT INTO major (major_id, major_name) VALUES (1, "컴퓨터공학"), (2, "수학과"), (3, "영어영문학"); SELECT * FROM major; ✓ 실행 결과 더보기 더보기..

목차 📍 View 오브젝트 1. View 생성 2. View 생성 및 수정 (Or Replace) 3. View 데이터 수정 및 조회 4. View를 사용한 DML 작업 5. View 삭제 📍 View 오브젝트 – 하나 이상의 Base table을 기반으로 생성은 되었으나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Data Dictionary에 Select 구문 형태로 정의만 되어 있는 가상의 논리적인 테이블. → 실질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 오브젝트와는 반대되는 개념. –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주는 것. 1. View 생성 CREATE VIEW (view 이름) AS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 – 출력할 내용을 select구문으로 먼저 작성하고 맨 위에 CREATE + view이름 + AS ..

목차 📍 데이터 정의어 (DDL) 1. 오브젝트의 구조를 정의하는 명령어 2.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2-1. 제약조건 생성 1 ) NOT NULL 2 ) UNIQUE 3 ) PRIMARY KEY 4 ) FOREIGN KEY 5 ) CHECK 6 ) 제약조건 정보 조회 2-2. 서브쿼리 사용 3. 테이블 수정 (ALTER TABLE) 3-1. 컬럼 추가 3-2. 컬럼 수정 3-3. 컬럼 삭제 3-4. 제약조건 추가 3-5. 제약조건 확인 3-6. 제약조건 삭제 4. 테이블 삭제 (DROP TABLE) 💡 ENUM 데이터타입 📝 TEST 1 📝 TEST 2 – 백업 스크립트 📍 데이터 정의어 (DDL) – Data Definition Language – 오브젝트의 구조를 정의하는 명령어. ..

목차 📍 트랜잭션제어어 (TCL) – Insert 구문 – Commit 사용 – Update 구문 – Delete 구문 – SavePoint 생성 – Delete 구문 2 – SavePoint 이동 📍 트랜잭션제어어 (TCL) –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로, 여러 개의 DML이 하나의 트랜잭션을 구성할 수 있음. → 특정 작업에 관련 된 DML 구문들을 묶어서 관리하는 논리적인 작업 단위. – 데이터베이스에서 일관성있는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사용함. – commit을 하지 않은 작업 내역은 다른 세션의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음. → 트랜잭션이 끝날때까지 행이 잠겨 다른 사용자가 작업할 수 없게 됨. – 데이터베이스 접속 도구에 따라서 커밋의 설정..

목차 📍 데이터 조작어 (DML) 1. Insert 2. Update 3. Delete 💡 트랜잭션 처리 모드 변경 📍 데이터 조작어 (DML) – Data Manipulation Language의 약자. 1. INSERT :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 2. UPDATE : 기존 데이터를 갱신 3. DELETE : 기존 데이터를 삭제 4. MERGE : 기존 데이터를 합침 ▸ INSERT –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는 문법.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명1, 컬럼명2, ...) VALUES (값1, 값2, ...); • insert into절 – 데이터를 입력할 테이블과 컬럼을 명시하는 절. – 전체 컬럼을 순서대로 입력하는 경우라면 컬럼명 생략 가능. • values절 – 입력할 데이터값들을..

목차 📍 서브쿼리 (Subquery) 1. 단일행 서브쿼리 2. 다중행 서브쿼리 🚨 에러 📄 예제 📝 테스트 📍 서브쿼리 (SubQuery) – 쿼리문을 보조하는 역할의 쿼리문. – 바로 조회할 수 없는 값을 별도의 쿼리구문을 통해서 메인쿼리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함. – 서브쿼리는 메인쿼리의 실행 순서보다 우선시 되며 괄호로 묶어서 작성. – Group By 절을 제외한 쿼리 구문에 사용 가능. – 연산에 사용된 서브쿼리의 위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서브쿼리가 돌려줄 데이터타입, 컬럼 수, 행 수가 맞아야 함. 1 ) 데이터타입이 같은 지 2 ) 서브쿼리가 돌려줄 컬럼의 수가 같은지 3 ) 중복값 유무 (=행 수) – 서브쿼리는 괄호로 묶어서 작성함. – where절 또는 having절에 사용된 경우 가..

목차 📍 그룹 함수 1. MIN / MAX 2. SUM / AVG – NULL의 유무에 따른 평균 값 구하기 3. COUNT 📍 GROUP BY 절 1. 그룹 기준이 하나일 경우 2. 그룹 기준이 여러 개일 경우 📍 HAVING 절 💡 SELECT 쿼리문 1. 작성 순서 2. 실행 순위 📝 TEST 1 📝 TEST 2 📍 그룹 함수 (여러행 함수) – 그룹 단위로 값을 받아서 연산하는 함수. – GROUP BY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테이블의 모든 행이 하나의 그룹으로 취급되어 결과가 만들어짐. – 그룹 함수 모두에 null값은 연산에서 제외함. ▸ MIN / MAX – 행 그룹에서 최소값, 최대값을 구해줌. – 모든 데이터타입에는 대소관계가 있으므로 모든 종류의 데이터타입 사용가능. EX1 ) 숫자 ..

📍 단일 행 함수 — 숫자 ▶ ROUND / TRUNCATE ROUND (숫자, 반올림할 자리) – 숫자를 반올림할 자리까지 반올림을 해주는 함수 – 반올림할 자리 생략 시 일의 자리로 반올림함 – 소수점을 기준으로 양수(오른쪽), 음수(왼쪽), 0(소수점) TRUNCATE (숫자, 버림할 자리) – 숫자를 버림할 자리까지 남기고 버림을 해주는 함수 – 소수점을 기준으로 양수(오른쪽), 음수(왼쪽), 0(소수점) EX1 ) round 사용 SELECT round(45.923, 2), round(45.923, 0), round(45.923, -1); ✓ 실행 결과 더보기 → 반올림할 자리가 양수면 소수점기준 오른쪽부터 자리를 정하고, 음수면 소수점기준 왼쪽부터 자리를 정하고, 0이면 소수점 자체를 기준으로..
- Total
- Today
- Yesterday
- Java
- 숫자형
- 문자형
- 다형성
- DB
- 원격저장소
- javascript
- gitbash
- 업캐스팅
- 로컬저장소
- jsp
- JSTL
- Dao
- Git
- null
- 데이터타입
- 내장객체
- 단일행함수
- mysql
- 출력문
- 인자
- Object
- 논리형
- 주석문
- github
- model2
- Method
- 오버라이딩
- 제어문
- 매개변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