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일 행 함수 — 문자 1. ASCII / CHAR 2. LENGTH / BIT_LENGTH / CHAR_LENGHT 3. CONCAT / CONCAT_WS 4. INSTR 5. UPPER / LOWER 6. LEFT / RIGHT 7. LPAD / RPAD 8. LTRIM / RTRIM 9. TRIM 10. REPLACE 11. SPACE 12. SUBSTR / SUBSTRING ▶ ASCII / CHAR ASCII (아스키코드) 문자의 아스키 코드값을 반환. CHAR (숫자) 숫자의 아스키 코드값을 반환. EX ) SELECT ascii('A'), char(65); → MySQL에서는 단순한 함수 결과나 계산 결과를 출력하는 경우, 즉 접근해야하는 테이블이 없는 출력구문인 경우 select절만 ..

📍 JOIN – 서로 다른 테이블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문법. – JOIN으로 여러 테이블을 묶어 나온 테이블 또한 하나의 테이블(가상의 테이블)처럼 사용할 수 있음. • table alias 사용 가능 – 구문이 실행되는 동안에만 적용되는 테이블에 대한 임시 별명값 – FROM 테이블명 alias • 테이블명 생략 가능 – join하는 두 테이블 간 컬럼명이 고유한(유일한) 이름인 경우 table명이나 alias를 생략해도 됨. – 두 테이블 간 컬럼명이 중복되는 경우는 꼭 테이블명, alias 값을 달아줘야 함. 1. ON절을 사용한 JOIN 2. ON절을 사용한 Self-Join 3. 비표준 JOIN ▶ ON절을 사용한 JOIN – JOIN절과 ON절을 사용하여 테이블의 정보를 연결하여 출력하는..
▶▶ ORDER BY 절 –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과 정렬방식으로 출력 결과를 정렬하여 만드는 옵션절. – ORDER BY절의 위치는 SELECT 구문에서 대부분 가장 마지막에 위치함. 원하는 데이터 추출 후 마지막에 보기 편하게 정렬할 때 사용함. – 데이터가 많으면 많을수록 정렬 잘못했다가는 여러모로 위험함. 특히, 테이블의 모든 행을 출력할 때 정렬해버리면 시간소모도 크므로 쓸 때 조심해야 함 – 정렬방식 오름차순 (Ascending order/ASC) 내림차순 (Descending order/DESC) ORDER BY + 정렬기준 컬럼 + 정렬방식 정렬방식 숫자 (0 < 9) 문자 ('A' < 'Z') 날짜 (이전 < 이후) 오름차순(사전순) 작은 값 → 큰 값 0 → 9 'A' → 'Z' 이전 →..

▶▶ 논리 연산자 – 조건식을 판단하여, 참(true)이면 1을 반환, 거짓(false)이면 0을 반환. 1. AND 2. OR 3. NOT ▶ AND / OR 연산자 – 기존 WHERE절의 1개의 조건식에 추가로 조건식을 조합하여 결과를 출력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문법. – 여러 조건문 작성 가능(횟수 제한 없음) 1. AND 연산자 – WHERE + A조건 + AND + B조건 – 나열한 조건식을 모두 만족하는 값을 가진 행(row값)을 출력함. AND 입력 출력 A조건 B조건 해당 행의 출력 여부 불만족 불만족 X 만족 불만족 X 불만족 만족 X 만족 만족 O EX ) mysql> SELECT employee_id, last_name, job_id, salary -> FROM employee..
▶▶ 비교 연산자 – 피연산자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를 판단하여, 참(true)이면 1을 반환하고 거짓(false)이면 0을 반환함. 1. BETWEEN A AND B 2. IN 3. LIKE 4. IS NULL ▶ BETWEEN A AND B – 구간 비교연산자. – BETWEEN A AND B, A이상(최소값) B이하(최대값)의 값을 가짐. EX1 ) 숫자 비교 mysql> SELECT last_name, salary -> FROM employees -> WHERE salary BETWEEN 2500 AND 3500; +-------------+---------+ | last_name | salary | +-------------+---------+ | Khoo | 3100.00 | | Baida | ..
▶▶ WHERE(조건문)절 – SELECT 구문에서 사용되는 옵션절. – 행에 대한 조건식을 작성할 수 있음. 더보기 * SELECT절과 WHERE절은 기능상 구분되어 있음 - SELECT절과 WHERE절은 아예 단독으로 사용됨 - 내가 추출하고자하는 데이터에 따라 같은 컬럼일수도 다른 컬럼일수도 있음 EX ) mysql> SELECT last_name, salary, hire_date -> FROM employees -> WHERE employee_id = 100; +-----------+----------+------------+ | last_name | salary | hire_date | +-----------+----------+------------+ | King | 24000.00 | 198..
▶▶ DISTINCT 키워드 – "중복된 값"을 자동으로 "제거"해주는 키워드. – SELECT절의 모든 요소에 대해 일괄 중복값을 제거하는 형태로 동작. – 여러 컬럼 요소들에 대한 중복값 제거는, 컬럼 목록의 값이 모두 일치한 경우에만 중복값으로 인정하고 제거함. – 컬럼의 값들 중 하나라도 다른 값이 있는 경우, 해당 값을 개별값으로 보고 중복값으로 인정하지 않음. EX1 ) 하나의 컬럼 사용 mysql> SELECT DISTINCT department_id -> FROM employees; +---------------+ | department_id | +---------------+ | NULL |// 소속부서 없는 사람 | 10 | | 20 | ... | 80 | | 90 | | 100 | |..
▶▶ SELECT 구문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하는 문법. SELECT절 다음에 FROM절이 옴. SELECT절에는 출력을 원하는 컬럼의 목록, FROM절에는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테이블의 이름을 작성. 줄바꿈은 필수는 아니지만 보통 코드의 가독성을 위해서 절단위로 줄바꿈 함. 구문의 끝은 항상 ; 세미콜론으로 마무리함. 1. SELECT : 테이블의 구조에서 출력할 컬럼, 포현식의 목록을 작성하는 절. 2. FROM : 데이터를 조회할 테이블을 정하는 키워드. 어떤 테이블에서 어떤 컬럼을 조회할지 정함. — 키워드 + 요소 → 절 ex) SELECT + 컬럼의 목록 → SELECT절 FROM + 테이블명 → FROM절 — 절 + 절 → 구문 ex) SELECT절 + FROM절 → SELECT구문 EX1..
- Total
- Today
- Yesterday
- Dao
- 단일행함수
- 문자형
- 출력문
- model2
- gitbash
- jsp
- 데이터타입
- 매개변수
- Git
- 오버라이딩
- 다형성
- 내장객체
- Method
- 주석문
- 논리형
- null
- javascript
- 인자
- mysql
- 원격저장소
- Object
- 업캐스팅
- Java
- JSTL
- github
- 제어문
- 숫자형
- DB
- 로컬저장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