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서드(method) – 동작(작업)의 최소 단위,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들의 모음. ex ) '밥먹다'의 기능을 메서드로 표현 (밥을 떠서 입에 넣고 씹기 등) – 메서드는 반드시 호출되어야만 실행할 수 있음. → 호출하는 메서드 = caller / 호출 당하는 메서드 = worker – 메서드 호출 시 메서드에 전달하는 값 전달인자(Argument=args)라고 하며, 이 전달 인자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변수를 매개변수(Parameter)라고 함. – 메서드가 호출되면 작업을 수행한 후에 반드시 호출한 위치로 돌아감. → 이 때, 호출한 곳으로 전달하는 값을 리턴값(Return Value)이라 함. – 리턴타입을 명시한 메서드는 반드시 return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리턴해야 함. → 단, 리턴타..
▶▶ 보조 제어문 – 주로 if문과 같이 사용하며, 어떠한 조건을 충족시킬 때, 반복문(for / while / do-while)이나 switch문을 종료 시킴. – 반복문 내에서 특정 조건식과 결합하여 반복문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함. 1. break 2. continue ▶ break문 – 반복문 내에서 조건식에 따라 반목문을 종료하는 용도로 사용, 주로 if문과 조합하여 반복문을 빠져나갈 조건을 설정함. – break가 속해 있는 반복문을 빠져나감. ex ) 안쪽 반복문에 속했으면 안쪽 반복문만 빠져나감. for (초기식; 조건식; 증감식) { if (조건) { break; → 현재 소속된 반복문의 블록문을 빠져나감 (종료) } } EX1 ) for—if문에서 break 사용 int i..
▶▶ 삼항 연산자 (조건 연산자) ? : – 피연산자가 3개인 연산자 – 조건식의 판별 결과가 true일 때와 false일 때, 서로 다른 위치의 값(또는 식)을 선택하는 연산자. – 조건식은 결과가 true 또는 false가 되는 식을 사용해야 함. 조건식 ? 값1(true일 때 선택) : 값(false일 때 선택); EX1 ) 삼항연산자 1 ) 출력문에 바로 입력하기 int num = 0; System.out.println(num>=0? "num은 양수" : "num은 음수"); → num이 0이상일 경우 ture가 리턴되고, true에 해당하는 "num은 양수" 값을 선택하게 되어, 출력문에서 출력됨. → System.out.println("num은 양수"); 문장과 결과가 동일함. ✓ 'num은 ..

▶▶ 상수 (contant) – 항상 같은 값을 갖는, 즉 변하지 않는 데이터. – 자바에서 사용하는 실제 데이터를 리터럴(Liternal)이라고 함. ex ) 정수 5 / 실수 3.14 / 문자 'A' / 문자열 "Hello, World!" 등 EX ) System.out.println(1); // 정수형 리터럴 System.out.println(3.14); // 실수형 리터럴 System.out.println(true);// 논리형 리터럴 System.out.println(false);// 논리형 리터럴 System.out.println('A');// 문자형 리터럴 System.out.println(5L);// 정수형(long형) 리터럴// 접미사 L 붙임 System.out.println(1.5f)..

▶▶ println & print & printf – 화면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print(), printf(), println() 메소드 더보기 ※ 메소드란? – 간단하게 특정 기능을 정의한 코드들의 집합이라 볼 수 있음. 야옹이 + () → 야옹이 메소드 멍멍이 + () → 멍멍이 메소드 System.out.XXX() 메소드 형태로 사용 → 내가 원하는 메소드 명과 기능을 만들 수 있음. ▶ println() 메소드 – 소괄호() 내부에 출력할 데이터를 전달하면 화면에 출력함. – 화면에 데이터를 출력한 뒤 줄바꿈을 수행 → 출력 후 엔터키 입력한 것과 동일한 결과 – 아무런 데이터도 전달하지 않을 경우, 단순 줄바꿈 기능 수행 EX ) ✓ println() 메소드를 사용하여 소괄호안의 "Hello, ..

▶▶ 주석(comment) – 프로그램 실행과 관계없는 문장으로, 주로 프로그램 코드에 대한 설명 등을 작성하거나, 기존의 코드를 실행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용도로 사용함. ▶ 한 줄 주석 (라인 주석) : // 주석처리 할 문장 – 주석 처리하고자 하는 문장의 앞쪽에 // 기호를 사용하여 주석처리. – 해당 주석 표시뒤의 한 문장을 실행 대상에서 제외시킴. – 단축기 : 주석 처리할 문장의 라인 아무 위치에서, 1) ctrl+shift+c (한 손으로 가능) 2) ctrl + / 3) 해제도 동일함 → 범위 주석 대신 사용 가능하며 특정 범위의 문장들을 블록 지정한 뒤 주석 처리 시 각각 주석 처리 하며, 해제 시에도 특정 범위 블록 지정 후 해제. EX ) ▶ 여러 줄 주석(범위 주석) – 주석 처리하..
- Total
- Today
- Yesterday
- Java
- JSTL
- null
- DB
- 문자형
- jsp
- gitbash
- 인자
- model2
- 다형성
- 매개변수
- 숫자형
- 단일행함수
- 내장객체
- 데이터타입
- 원격저장소
- javascript
- Git
- 주석문
- 출력문
- Dao
- 로컬저장소
- 업캐스팅
- 논리형
- 오버라이딩
- github
- 제어문
- mysql
- Method
- Objec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